File Download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Find it @ UNIST can give you direct access to the published full text of this article. (UNISTARs only)
Related Researcher

김하진

Kim, Hajin
Single Molecule Biophysics Lab.
Read More

Views & Downloads

Detailed Information

Cited time in webofscience Cited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생물물리학으로 DNA 다시 보기

Author(s)
Kim, Hajin
Issued Date
2023-07-03
URI
https://scholarworks.unist.ac.kr/handle/201301/67986
Citation
포스텍 생명물리 여름학교
Abstract
DNA는 생명현상을 정의하는 정보를 담고 있으며, 모든 수준의 생명체에서 가장 일관된 형태로 되풀이되어 발견되는 생체분자입니다. 70년전 이중나선구조를 밝힌 이래, 20년전 인간게놈서열을 밝히고 최근엔 빈틈없는 인간게놈서열까지 완성하는 등 오랜 시간 매우 면밀히 연구하여 그 물리화학적 특성과 생물적 기능을 낱낱이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신의 단일분자측정 및 전산모사 기술은 우리가 가장 잘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이 분자에 대해 몰랐던 것들을 밝혀내고 있습니다. 가령 DNA는 얼마나 잘 휘는가 같은 기초적인 물음에 대해서도 아직 명확한 답을 알고 있다고 하기 어렵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단일분자 형광이미징, 원자힘 현미경, 전원자 전산모사 기법을 이용한 최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DNA의 물리적 특성과 염기서열, 화학적 변이 사이의 밀접한 연관성에 대해 얘기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발견은 세포핵에서 염색질 구조를 시공간적으로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제시할 수 있고, 또한 인위적인 서열 조작을 통해 유전자 치료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Publisher
포스텍

qrcode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