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Related Researcher

Author's Photo

Im, Jungho
Intelligent Remote sensing and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IRIS) Lab
Research Interests
  • Remote sensing, Artificial Intelligence, Geospatial modeling, Disaster monitoring and management, Climate change

우리나라 연안 대형저서동물 시·공간 군집 특성 분석

Cited 0 times inthomson ciCited 0 times inthomson ci
Title
우리나라 연안 대형저서동물 시·공간 군집 특성 분석
Other Titles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Macrobenthic Community in the Coastal area of South Korea
Author
김영준임정호조춘옥류종성
Issue Date
2022-09
Publisher
한국지리정보학회
Citation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25, no.3, pp.100 - 117
Abstract
본 연구는 지난 6년간(2015–2020) 우리나라 연안의 대형저서동물 관측 개체수를 활용하여 시·공간 군집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제주해역을 제외한 우리나라 서, 남, 동해에 위치한 총 154개(서해 70개, 남해 61개, 동해 23개 정점)의 연안생태조사 정점에 대하여 계절별로 각 정점에서의 주요 저서동물의 관측 개체 수 (개체 수/㎡)와 퇴적환경을 조사·분석하였다. 정점별로 우리나라 연안해역의 수심, 퇴적특성, 입도특성, 강열감량 및 총 유기탄소에 대한 저서환경 특성차이를 분석하였다. 총 1,614 종의 대성저서동물이 우리나라 연안해역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정점별로 평균 0.62 개체/㎡의 밀도를 보였다. 시간적으로는 춘·하계(5, 8월)에 저서생물 개체 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450종 이상의 다양한 종이 우리나라 연안 해역에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개체 수에서 상위 1% 이상을 차지하는 우점종의 대부분은 환형동물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상위 5종이 전체 개체수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5개 우점 종은 각각 고리버들갯지렁이, 긴자락송곳갯지렁이, 투구갯지렁이, 오뚜기갯지렁이, 가는버들갯지렁이로 나타났다. 상위 5개 우점 종에 대하여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공간적으로 구분이 되는 세 가지 군집을 도출하였다. 각 군집은 총 154개의 정점을 서, 남, 동해 연안에 위치한 정점들을 중심으로 구성이 되었으며, 이를 활용하여 군집별 저서환경 특성을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군집 1과 3의 경우, 고리버들갯지렁이의 상대밀도가 각각 44%로 높게 나타났고, 군집 2의 경우는 동해에서 관측 개체수가 많이 발견 된 긴자락송곳갯지렁이의 상대밀도가 66%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군집 1과 3의 경우, 같은 종을 나타내는 군집임에도 불구하고, 모래(31.0%, 51.9%)와 진흙(15.9%, 9.7%) 함유량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URI
https://scholarworks.unist.ac.kr/handle/201301/60487
DOI
10.11108/kagis.2022.25.3.100
ISSN
1226-9719
Appears in Collections:
UEE_Journal Paper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find_unist can give you direct access to the published full text of this article. (UNISTARs only)

Show full item record

qrcode

  • mendeley

    citeulik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