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le Download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Find it @ UNIST can give you direct access to the published full text of this article. (UNISTARs only)

Views & Downloads

Detailed Information

Cited time in webofscience Cited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홍수피해 특성에 따른 지역사회 홍수회복력 분석

Alternative Title
An Analysis of Community Flood Resilience with a Focus on Flood Damage Characteristics
Author(s)
김청일홍종호
Issued Date
2021-09
URI
https://scholarworks.unist.ac.kr/handle/201301/54119
Fulltext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609011&language=ko_KR
Citation
환경정책, v.29, no.3, pp.225 - 252
Abstract
기후변화와 이상기상 현상으로 인해 홍수위험에 대한 예측가능성이 낮아지면서 기존 예방 중심의 대응방안으로는 홍수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졌다. 이에 따라 홍수위험 요소를 사전에 예측혹은 방지하는 방식보다는 홍수 발생 이후 신속히 이전 상태로 복구하거나 더 나은 상태로 지역사회 시스템을 개선하는 홍수회복력 중심의 대응방안이 중요해지고 있다. 홍수회복력을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지역별 홍수피해 특성과 연계한 홍수회복력 변수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홍수피해 특성에 따른 지역사회 홍수회복력을 분석하기 위해 2018년을 기준으로 전국 229개 기초지자체의 홍수피해 특성을 분류하고, 각 특성을 대표하는 지역들의 홍수회복력 변수를 분석하였다. 다강우-대피해와 다강우-소피해 대표지역을 비교・분석한 결과, 재정적・자연적・물리적 홍수회복력이 홍수피해와 상관성이 있었다. 특히 인적・물적 피해가 발생한 지역은 물리적 홍수회복력이, 물적 피해만 발생한 지역은 물리적・인적 홍수회복력이 홍수피해와 상관성이 있었다. 저강우-대피해와 저강우-소피해 대표지역을 비교・분석한 결과, 재정적・물리적홍수회복력이 홍수피해와 상관성이 있었으며, 물리적 홍수회복력이 크지만 저강우-대피해가 발생한 지역의경우 신규 시설보다는 기존 시설에 대한 운영 및 유지관리 미흡이 문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Publisher
한국환경정책학회
ISSN
1598-835X
Keyword (Author)
Community Flood ResilienceFlood Resilience IndicatorsFlood Damage Characteristics지역사회 홍수회복력홍수회복력 측정지표홍수피해 특성

qrcode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