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5 | 톨스토이의 신여성: 『부활』의 카튜샤 마슬로바 | 윤새라 | ARTICLE | 183 |
|
2021-05 | Seven Years in Dostoevsky's Crime and Punishment | Yoon, Saera | ARTICLE | 158 |
|
2020-12 | 톨스토이의 나타샤와 안나: 진화 혹은 역행의 서사 | 윤새라 | ARTICLE | 237 |
|
2019-06 | Final Words, Final Shots: Kurosawa, Bortko and the Conclusion of Dostoevsky’s Idiot | Yoon, Saera; Efird, Robert O. | ARTICLE | 575 |
|
2019-06 | 아쿠닌의 희곡 음양과 이원성 | 윤새라 | ARTICLE | 405 |
|
2019-04 | Smerdiakov's Fathers in The Brothers Karamazov | Yoon, Saera | ARTICLE | 483 |
|
2018-12 | 알료샤 카라마조프: 가족의 관점에서 본 주인공 | 윤새라 | ARTICLE | 674 |
|
2018-09 | 오해와 진실: 드미트리 카라마조프의 테마 | 윤새라 | ARTICLE | 769 |
|
2017-09 | 도스토옙스키의 <백치>와 <악령>에 나타난 스위스 | Yoon, Saera | ARTICLE | 995 |
|
2017-08 | 법과 정의: <카라마조프 형제들>과 <부활> 비교 연구 | 윤새라 | ARTICLE | 929 |
|
2017-06 | A Missing Link: Levin at the Railway Station in ANNA KARENINA | Yoon, Saera | ARTICLE | 652 |
|
2016-10 | Revitalization or Deception: Anna Karenina's Central Characters in Europe | Yoon, Saera | ARTICLE | 802 |
|
2016-09 | 수도사의 생애: 도스토옙스키의 조시마 장로와 톨스토이의 세르기 신부 | Yoon, Saera | ARTICLE | 1110 |
|
2015-12 | 간텍스트성과 소통: <백치>의 두 여주인공의 독서 | Yoon, Saera | ARTICLE | 1342 |
|
2015-06 | 네흘류도프의 궤적: 톨스토이의 분신과 공간 배경 | Yoon, Saera | ARTICLE | 1179 |
|
2014-09 | 지주 네흘류도프의 여정: 톨스토이의 「지주의 아침」과 『부활』의 주인공 연구 | 윤새라 | ARTICLE | 1805 |
|
2013-12 | Intertextuality in kurosawa's film adaptation of dostoevsky's The Idiot | Yoon, Saera | ARTICLE | 1162 |
|
2013-04 | Myth(s) of creation: Puškin's 'The Blackamoor of Peter the Great' | Yoon, Saera | ARTICLE | 1033 |
|
2012-12 | 「페초린 수기」의 구성 시학: ‘운명’과 ‘숙명’을 중심으로 | Yoon, Saera | ARTICLE | 1083 |
|
2012-09 | 자아와 타자 사이: 고골 작품의 소러시아 | Yoon, Saera | ARTICLE | 130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