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le Download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Find it @ UNIST can give you direct access to the published full text of this article. (UNISTARs only)
Related Researcher

성민규

Sung, MinKyu
Read More

Views & Downloads

Detailed Information

Cited time in webofscience Cited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itation.endPage 60 -
dc.citation.number 1 -
dc.citation.startPage 30 -
dc.citation.title 커뮤니케이션 이론 -
dc.citation.volume 81 -
dc.contributor.author Sung, MinKyu -
dc.date.accessioned 2023-12-22T05:13:00Z -
dc.date.available 2023-12-22T05:13:00Z -
dc.date.created 2013-07-23 -
dc.date.issued 2012-04 -
dc.description.abstract 이 연구는 민주주의 실행의 수단으로서 인터넷 소셜미디어 이용에 대한 담론정치를 토론한다. 필자의 관점에서, 뉴미디어를 통한 대안적 정치행위에 관한 토론들은 현대 민주주의 정치의 합의체제가 어떠한 커뮤니케이션 양식을 특권화시키는지에 관해 주목하지 않는다. 그러한 특권화는 최근 커다란 사회정치적 관심의 대상인 소셜미디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을 지나치게 도덕화시킬 수 있다. 필자는 이처럼 민주주의 정치에 적합한(proper) 커뮤니케이션 양식을 특권화하는 것을 ‘저널리즘의 미학화’(aestheticization of journalism)라고 부른다. 그동안 소셜미디어와 민주주의 정치의 연관성에 관한 토론에서 ‘바라보기’가 ‘사회참여’의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양식으로서 다루어지지 못했다. 수동적 참여로 간주되는 ‘익명성’과 ‘공감’을 통한 ‘바라보기’의 문화정치를 살펴봄으로써, 필자는 저널리즘의 미학화에 도전하는 소셜미디어의 스펙테이터쉽(spectatorship)을 토론한다. 마지막으로, 소셜미디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야기하는 ‘훈육의 정치’에 관한 우려로서 이른바 ‘과잉 커뮤니케이션론’을 토론한다.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discursive way in which the use of the social media poses a challenge to democratic politics. The discussion of new media’s contribution to deliberative democracy in a society does not pay legitimate attention to how the democratic regime privileges a particular form of communication. My argument is that the discursive politics of democracy moralizes communicative practices within social formation. I want to call this moralization of society the aestheticization of journalism. By drawing attention to the communicative form of witnessing, I suggest that the ideas of anonymity and sympathy help us understand a spectatorship politics in social media practices. This discussion then helps problematize the so-called ‘excessive communication’ made through the social media as an apparatus of disciplinary power.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커뮤니케이션 이론, v.81, no.1, pp.30 - 60 -
dc.identifier.issn 1738-7221 -
dc.identifier.uri https://scholarworks.unist.ac.kr/handle/201301/3805 -
dc.identifier.url http://www.dbpia.co.kr/Article/1668875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언론학회 -
dc.title.alternative Social Media’s Cultural Politics: The Aestheticization of Journalism in an Era of ‘Excessive’ Communication -
dc.title 소셜미디어의 문화정치 : ‘저널리즘의 미학화’에 놓인 ‘과잉’ 커뮤니케이션 -
dc.type Article -
dc.description.isOpenAccess FALSE -
dc.identifier.kciid ART001652447 -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 kci -

qrcode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