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자량 PPS의 합성 및 물성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Park, Lee Soon | ko |
dc.contributor.author | Lee, Soo-Chang | ko |
dc.contributor.author | Lee, Tae-Hyung | ko |
dc.contributor.author | Jeon, Jae-Young | ko |
dc.date.available | 2015-10-05T00:09:05Z | - |
dc.date.created | 2015-09-14 | ko |
dc.date.issued | 1997-01 | - |
dc.identifier.citation | POLYMER-KOREA, v.21, no.3, pp.369 - 374 | ko |
dc.identifier.issn | 0379-153X | ko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works.unist.ac.kr/handle/201301/17277 | - |
dc.identifier.uri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124301 | ko |
dc.description.abstract | 고분자량 PPS의 합성을 위한 중합 조건의 조사를 통하여 최적 조건은 단량체의 농도 2.5mol/L, 첨가제로서의 NaOH 투입량 0.01~0.03mol/1 mol Na_2S, 단량체 몰비([Na_2S]/[DCB]) 1.01/1~1/1.03로 나타났다. 선형 PPS의 중합조건을 토대로 가지형 PPS의 합성시 TCB의 함량이 증가됨에 따라 분자량(M_w)이 각각 25300, 49100 및 144000g/mol로 현저히 증가하였다. TCB단향체를 이용하여 210℃ 1-chloronaphthalene 용매에 가용인 성질을 가진 가지형 구조의 PPS를 합성하면 가공성의 향상(T_m의 감소), 내열성의 향상(T_g의 증가) 등의 이점이 있으며, 선형 PPS 대비 결정성의 감소는 약 25% 정도로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 ko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close | - |
dc.language | KOR | ko |
dc.publisher | POLYMER SOC KOREA | ko |
dc.title | 고분자량 PPS의 합성 및 물성 | ko |
dc.type | ARTICLE | ko |
dc.type.rims | ART | ko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