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타니움이 치환된 Silicalite(TS-1)의 제조 및 특성분석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Hong, Eun Hwa | ko |
dc.contributor.author | Kim, Young Nam | ko |
dc.contributor.author | Chung, Jae Bin | ko |
dc.contributor.author | Lee, Jae Sung | ko |
dc.contributor.author | Chung, Jong Shik | ko |
dc.contributor.author | Kim, Young Gul | ko |
dc.date.available | 2015-09-09T00:09:55Z | - |
dc.date.created | 2015-09-08 | ko |
dc.date.issued | 1998-12 | - |
dc.identifier.citatio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K), v.36, no.6, pp.908 - 912 | ko |
dc.identifier.issn | 0304-128X | ko |
dc.identifier.uri | https://scholarworks.unist.ac.kr/handle/201301/16714 | - |
dc.identifier.uri | http://kiss.kstudy.com/journal/thesis_name.asp?tname=kiss2002&key=220990 | ko |
dc.description.abstract |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탄화수소의 선택적인 산화반응에 유용한 촉매인 Titanium Silicalite-1(TS-1)의 제조와 특성분석에 관하여 XRD, FT-IR, Raman, TGA, SEM 등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XRD를 이용하여 MFI구조의 생성을 확인하였으며, FT-IR은 MFI의 구조 생성과 아울러 그 격자내에 Ti가 치환되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Ti의 양이 2.0 atomic %가 넘을 때는 부산물로서 anatase형의 TiO₂가 생성됨을 Raman 분광법으로써 확인하였다. 생성된 TS-1은 650℃까지는 열적으로 안정하여 0.25㎛ 정도의 균일한 입자크기를 가진 원통형 형상을 보였다. 합성과정 중 MFI구조는 170℃의 결정화 과정에서 형성되며 Ti가 silicalite 격자내로 치환되는 시기는 550℃의 소성단계였다. | ko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close | - |
dc.language | KOR | ko |
dc.publisher | 한국화학공학회 | ko |
dc.title | 티타니움이 치환된 Silicalite(TS-1)의 제조 및 특성분석 | ko |
dc.type | ARTICLE | ko |
dc.type.rims | ART | ko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